전체 글

FAT 윈도우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파일시스템 FAT의 종류는 FAT12와 FAT16 FAT32 exFAT가 있으며 많은 용량을 지원하는 exFAT를 많이 사용한다. NTFS FAT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FAT과 달리 저널링 시스템을 지원하며, 탐색 속도가 훨씬 빠 르다. 이외에도 성능 개선, 신뢰성, 추가 확장 기능을 더한 디 스크 공간 활용을 들 수 있다. findstr 윈도우의 텍스트 검색기능 'FINDSTR /C:"hello there" x.y’ findstr /m /l "BcMc" c:\windows\system32\drivers\*.sys
· OS/Linux
KILL 프로세스를 종료 시킨다. ps명령어로 프로세스 확인할 수 있다. kill 2518 kill -9 2518 //강제로 중지 시킨다. WHO 호스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 who -a: -b -d --loing -p -r -t -T -u 옵션과 같다. who am i / whoami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이름 출력 W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한다. rc.local 부팅시 자동실행 스크립트를 수행 하는 역활을 한다. 매번 자동 실행되길 원하는 명령어는 /etc/rc.d/rc.local에 넣어준다.
· OS/Linux
XFS, EXT 파일시스템 파티션 분활 후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CentOS6 버전까지는 EXT 파일시스템으로 사용 7버전부터 XFS 파일시스템 사용 파일시스템이란? 하드디스크, DVD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서 데이터를 저장, 삭 제. 검색하는 방법을 제어하는 체계 XFS Centos7의 기본 파일 시스템 높은 확장성과 고성능 64비트 파일, 장애 시 빠른 복구를 지원 최대 900TB 지원 EXT 주로 리눅스에서 쓰이는 파일 시스템 최대 16TB 지원 저널링 파일시스템 파일을 변영하기 전 미리 변경사항을 받아둔 다음 반영하는 방 식 (임시저장) 시스템 충돌, 오류, 실수가 일어나도 충돌 전으로 데이터를 되 돌려 줄 뿐 아니라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도 제자리에 저장한다. SWAP 메모리가 가득 찼을때의 보조..
· OS/Linux
[리눅스 명령어] ps, netstat, free ps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윈도우의 작업관리자와 흡사 ps [옵션] -A :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p : 프로세스 ID를 출력한다. T : 현재 터미널에서의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r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PID : 프로세스 식별번호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 STAT : 프로세스R 실행 중 혹은 실행될 수 있는 상태 S sleep I idle (비활동 상태:BSD, 중간적 상태:sys V) T 정지된 상태(suspend) 상태 UID : 사용자의 ID TIME : 총 CPU 사용 시간 netstat 네트워크의 연결과 포트를 출력한다. netstat –rn 라우팅 정보 출력 netstat –anp P..
· OS/Linux
[리눅스 명령어] traceroute, tracert traceroute 리눅스 네트워크의 IP경로 확인 traceroute [옵션] [도메인명 혹은 IP주소, 서버주소] -n : 빠른 명령을 위한 DNS lookup 비활성 -w seconds : 응답 패킷을 수신 받기 위한 시간(생략된 경우 기본적으로 5초) tracert 윈도우의 IP 패킷 경로 추적
· OS/Linux
[리눅스 명령어] df, top, grep df 파일시스템 디스크 공간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df –a :모든 파일시스템을 출력 df –h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 df –i :아이노드의 남은 공간, 사용 공간, 사용 퍼센트 정보 top 시스템 프로세스/메모리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top -q : 시간의 간격 없이 계속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출력한다. top -b : 배치모드로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간 상화 대화형모드로 정보를 화면에 일렬로 출력한다. top -d delay : 지정한 시간(delay 초)의 간격으로 정보를 업데이 트하여 출력한다. 단축키: sspace:정보dg를 업데이트한다. k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grep 리눅스의 텍스트 검색기능 grep apple fruitlist..
· OS/Linux
mount: 디스크 디렉토리를 외부 장치와 연결할 때 사용함. 리눅스 내에서도 boot용 디스크 공간이 /boot라는 디렉토리로 마운트됨 mkfs (포맷작업) mkfs: 데이터 저장을 위해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구축 선장(파일시스템)을 고용(포맷)하는 명령 fdisk 통해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mke2fs -T [ext파일시스템] [디스크 파티션] or, mkfs.ext4 /dev/sdc1 (logical 파티션 = mkfs.xfs /dev/장치명) 선장이 고용되어 타고있는 배(파일시스템이 포맷된 디스크) 완성. mount (마운트) 선착장(디렉토리), 마운트 해줄 장소를 정한다. 마운트 할 지점(디렉토리)생성 마운트 작업을 한다. mount [디스크 or 파티션] [마운트할 디렉토리] #mou..
· OS/Linux
[RAID 명령어 3편] Mdadm 으로 RAID 구성하기 Mdadm :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RAID를 구성할 수 있는 명령어 i) 디스크 추가 (가상 머신 혹은 물리 디스크 추가) ii) fdisk 명령어로 RAID용 파티션 만들어주기 * 전부 엔터 p 입력 후 t(편집) 입력 Raid 용인 fd를 입력한다. 그 다음 w를 입력해 나간다. 이렇게 추가한 모든 디스크를 파티션해준다. sdc,sdd = RAID 0 sde,sdf = RAID 1 sdg,sdh,sdi = RAID 5 iii) yum install -y 으로 "mdadm"다운받기 레이드 구성하기 (--create) --create [만들 /dev/md{숫자}] --level=[레이드버전] --raid-devices=[장치수] [레이드 만들 ..
· OS/Linux
[CentOS / Ubuntu] MegaCLI 구성 DELL, IBM은 에서는 디스크 관리시에 LSI의 메가레이드(MegaRAID)를 사용하게 됩니다. CentOS yum install lshw //스토리지 확인 명령어 lshw –c “storage” | more yum install -y ncurses* Yum install –y unzip wget https://docs.broadcom.com/docs-and-downloads/raid-controllers/raid-controllers-common-files/8-07-14_MegaCLI.zip unzip 8-07-14_MegaCLI.zip // 다운받은 메가 레이드 파일 압축해제 cd Linux/ rpm -Uvh MegaCli-8.07.14-1.no..
_눙이_
눙이의 인프라 메모장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