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물리서버
### VPN (Virtual Privite Network) -VPN : 사설네트워크(자사망의 장비가 통신을 위해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유지되는 네트워크)에 공중 네트워크(공중망) 액세스를 가지고 접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에 Tunnel을 사용하여 연결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이전에는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하였으나 넓은 국토를 가진 나라 또는 많은 지사들이 연결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용회선을 사용하게되면 높은 유지비용의는 문제가 발생 ================================================================================================================== ## ..
### Network 보안 -Network가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네트워크는 점점 복잡해지고 음성 , 영상 , 데이터 서비스가 하나로 통합된 네트워크 인프라에대한 요구가 확대됨에따라 네트워크 보안이 중요한 기능이 되었다 -시스코사에서는 네트워크의 생명 주기 전체에 걸쳐서 가치를 부여하도록 설계된다. -시스코의 네트워크의 생명 주기를 PPDIOO라고한다. (Prepare Plan Design Implement Operate Optimize (준비 계획 설계 구현 운용 최적화) -빠르게 바뀌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보안솔루션은 기업의 요구에 맞추어 설계된다.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복접성에 대처하기위해서 CIA를 확인해야한다. -CIA는 간단하지만 가장 널리 적용되는 보안 모델이며로 기밀성 (Confidenti..
· 물리서버
## Switch # Hub -Layer 1의 대표장비 -자신이 포함된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비와 통신시 사용되는 장비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Forwarding실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장비) -Collision Domain을 공유하는 장비이다. # Switch -Layer 2의 대표장비 -자신이 포함된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비와 통신시 사용되는 장비 -Ethernet Header에 포함된 Mac-address를 사용하여 통신을 실시 (16진수 , 48bit : HH-HH-HH-HH-HH-HH) -Switch는 데이터가 입려되면 Layer2 Header(Ethernet Header)의 목적지 Mac-address를 근거로 Mac-address Table을 참조하여 Forwa..
· 물리서버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P자동 할당 Protocol -통신장비는 장비초기화시 TCP/IP에 참여하기위해서 IP 주소를 찾게된다 (IP , Subntmask , Gateway , DNS등..) -PC가 2000대인 내부네트워크 환경에서 IP를 할당해야할경우 수동으로 설정하는것보다 DHCP기능을 사용하여 IP주소및 Subnetmask , Gateway , DNS , 임대기간등을 자동으로 할당할수 있다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소 또는 Subnet이 자주 변경되는 환경에서도 효율적이다. -DHCP는 UDP 67 , 68번을 사용한다. .67 : Server .68 : Client -DHCP는 4가지의 Message를 사용하여 IP주소를 할당하게된..
· 물리서버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 IP 주소의 낭비를 막기위해서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기능 -사설 IP 주소는 공중망을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없다. .사설 IP 주소는 공중망으로 라우팅 업데이트 할 수 없다. (RIP , EIGRP , OSPF로 라우팅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ISP에서는 방화벽을 사용하여 출발지 IP 주소가 사설대역인 모든 트래픽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ISP와 같은 공중망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사설망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내부 사설 IP 주소는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기위한 용도이며 외부 네트워크로 통신시에는 NAT기능을 사용하여 ..
· 물리서버
### ACL (Access Control List) [바탕 / 굵게 / 14] -Router로 접근하는 특정 트래픽을 제어하거나 Offset-list , Distribute-list , QOS , IPsec등의 Filtering기능 구성시 범위를 지정시 사용한다. ## ACL구성시 주의사항 -ACL은 "Permit/Deny" command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제어한다. -ACL은 마지막 Line에 "deny any" command가 자동실행된다. -ACL은 첫번째 Line부터 순서대로 실행되기때문에 작은 범위의 트래픽부터 지정해야 한다. -ACL은 특정 부분에 대해서 추가 , 삭제가 실시되지 않는다. =========================================================..
· 물리서버
### ACL (Access Control List) -ACL은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기능 .특정 트래픽을 허용한후 나머지 모든 트래픽을 차단 [방화벽] .특정 트래픽을 차단한후 나머지 모든 트래픽을 허용 [Fitering] -Distribute-list , Offset-list , Route-map등의 Filtering , NAT기능 사용시 네트워크의 범위를 지정시 사용된다. -ACL은 Numbered ACL , Named ACL , Dynamic ACL , Reflective ACL , MAC-address ACL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 ACL구성시 주의사항 -ACL은 Permit/Deny command를 사용하여 특정 네트워크를 허용하거나 차단할수있다. -ACL의 마지막 L..
· 물리서버
13.13.12.0/24 13.13.23.0/24 R1---------------------R2---------------------R3 | | | 13.13.10.0/24 13.13.20.0/24 13.13.30.0/24 -Process = 100 -Area = 0 -Router-ID = Router번호 사용 # R1 router ospf 100 router-id 1.1.1.1 network 172.16.1.1 0.0.0.0 area 0 network 13.13.12.1 0.0.0.0 area 0 network 13.13.10.254 0.0.0.0 area 0 ! *Mar 1 00:04:27.099: %OSPF-5-ADJCHG: Process 100, Nbr 2.2.2.2 on Serial1/0 fro..
· 물리서버
#### OSPF Authentication -OSPF는 Router와 Router간 인증을 실시하는Neighbor 인증기능과 해당 Area내의 모든 Router에서 공통으로 인증기능을 사용하는 Area인증기능을 사용할수 있다. ## Neighbor authentication -Router와 Router사이간의 인증기능 # Plain Text authentication S1/0 S1/1 S1/0 S1/1 R1----------------------R2----------------------R3 # R1 interface serial 1/0 ip ospf authentication ip ospf authentication-key cisco ! # R2 interface serial 1/1 ip ospf a..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Open : 표준 개방형 Protocol (모든 밴더의 Router가 지원하는 Routing Protocol) -Shortest Path First : SPF알고리즘을 사용하여 Loop가없는 경로를 보장한다. [Dijikstra 알고리즘] -Link-State 알고리즘 .인접성(Adjacency)이 맺어진 라우터 상호간 라우팅 업데이트를 실시 .변경사항이 없으면 업데이트를 실시하지 않는다. .Link변화시 변화된 부분에 대해서 부분적인 업데이트를 실시 .각 Router는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Database Table을 사용하여 파악한다. -Classless .업데이트 정보안에 SubnetMask가 포함 .Subnetting , V..
_눙이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상단으로